본문 바로가기
생활과 연결되는 경제 이야기

경제 상생을 위한 정책, 상생페이백 신청 방법 알아보기

by pretty happy Money Rule 2025. 8. 27.

계단에서 위에 있는 사람이 아랫 사람을 이끌어주는 일러스트 출처 픽사베이

 

상생페이백 제도, 쉽고 친절한 안내

최근 정부가 상생페이백이라는 제도를 도입했습니다. 이름만 들으면 조금 낯설 수 있지만, 간단히 말해 카드 사용을 늘리면, 정부가 일부 금액을 상품권으로 돌려주는 제도입니다. 소비자는 혜택을 받고, 소상공인은 매출이 늘어나는 함께 사는 경제 정책이라고 이해하면 쉽습니다.

상생페이백이란?

상생페이백은 중소벤처기업부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시행하는 소비 지원 제도입니다. 2025년 9월부터 11월까지 3개월 동안 진행되며, 지난해보다 카드 사용이 늘어난 금액의 20%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 월별 최대 환급: 10만 원
  • 총 3개월 동안 최대 환급: 30만 원
  • 환급 형태: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유효기간 5년)

어디서 쓴 돈이 인정될까?

환급을 받으려면 모든 소비가 인정되는 것은 아닙니다. 다음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 국내 소상공인 매장에서 오프라인 카드 단말기로 결제해야 함
  • 포함 업종: 전통시장, 동네 마트, 음식점, 안경점, 서점, 미용실, 카센터, 제과점 등
  • 제외 업종: 대형마트, 백화점, 온라인쇼핑몰, 배달앱 결제, 무인 키오스크, 해외 직구, 유흥업소 등

즉, 동네 가게에서 직접 카드로 결제한 것만 인정되고, 온라인이나 대기업 매장에서 쓴 금액은 환급 대상이 아닙니다.

왜 이런 제도를 할까?

상생페이백은 단순한 소비 장려책이 아니라 소상공인과 소비자가 함께 혜택을 보는 구조입니다.

  • 소상공인 매출 확대: 대형마트 대신 동네 가게에서 소비가 늘어나도록 유도
  • 경기 회복: 위축된 소비 심리를 회복하고 내수 경제 활성화
  • 실질적 지원: 단순 현금 지원이 아니라, 소비를 한 만큼 돌려받는 구조

상생페이백 신청 방법

신청은 어렵지 않습니다. 온라인과 오프라인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온라인 신청

  1. 공식 사이트 상생페이백.kr 접속
  2. 휴대폰 인증 또는 간편 인증으로 본인 확인
  3. 약관 동의 후 신청 완료
  4. 온누리상품권 앱 회원 가입 필요

신청 기간은 2025년 9월 15일 오전 9시 ~ 11월 30일 자정까지이며, 첫 주(9월 15일~19일)는 출생연도 끝자리에 따라 5부제가 적용됩니다. 이후(9월 20일~)에는 누구나 신청할 수 있습니다.

오프라인 신청

  • 전통시장 상인회
  • 소상공인지원센터
  • 은행 영업점
  • 전용 콜센터(1533-2800)

온라인이 어렵다면 가까운 센터나 은행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환급은 어떻게 받을까?

한 번 신청하면 3개월 동안 자동으로 소비 실적이 계산되고, 증가한 금액의 20%가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지급됩니다. 신청 후 2일이 지나면 누리집에서 내 소비 실적과 환급 금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정리하며

상생페이백은 소비자에게는 혜택을, 소상공인에게는 매출 증가를 주는 제도입니다. 소비를 조금 늘려도 일정 부분이 상품권으로 돌아오기 때문에, 생활비 부담은 덜고 지역 경제에 힘을 보탤 수 있습니다.

“내가 쓰는 소비가 내 지갑에도, 우리 동네 가게에도 도움이 된다”는 점에서, 상생페이백은 이름 그대로 상생을 실천하는 제도입니다.